구글 블로그(blogspot)에 도메인 주소 연결하는 방법
구글 블로그 (Blogger)
구글 블로거(Blogger)는 구글 계정만 있으면 이용할 수 있는 무료 블로그 플랫폼입니다. 정식 명칭은 블로거지만, 도메인 공급자가 블로그스팟(Blogspot)이 블로그스팟이라고도 불립니다. 직관적인 UI를 갖췄지만, 네이버나 티스토리 블로그에 비해 사용법이 직관적이진 않은 편이라 진입장벽이 높고, 그 때문에 아직 국내 이용자가 많지는 않습니다.
블로그스팟에 커스텀 도메인 연결하는 방법
크게 아래 4가지 단계로 진행됩니다.
- 블로그스팟 DNS 정보 확인
- 도메인 주소 구매
(이 글에선 가비아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 도메인 구매 사이트에서 DNS 레코드 편집
- 블로그에 도메인 주소 등록
각 단계별로 설정 방법과 주의할 점을 자세히 설명하였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순서대로 따라 해보세요.
1. 블로그스팟 도메인 설정창에서 DNS 등록 정보 확인
먼저 블로그스팟 설정에서 DNS 정보를 확인합니다. 설정 → 맞춤 도메인;을 클릭하시어, 커스텀 도메인 주소(사실 이 단계에선 아무 도메인 주소나 입력하셔도 됩니다.)를 입력하시고 저장을 시도합니다. 아래 캡쳐 이미지와 같이, 안내 메세지가 생성되며 DNS 레코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름, 및 gv-로 시작하는 대상 정보 확인
추후 도메인 구매 사이트에서 DNS 정보들을 입력해야 하므로 따로 화면에 띄워두시거나 복사해두고 진행합니다.
2. 도메인 구매
도메인은 카페24, 가비아, 호스팅KR 등 여러 업체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해당 글에서는 가비아에서 구매한 도메인 등록 작업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동일한 도메인 주소라도 호스팅KR이 가장 저렴했지만, 큰 가격 차이가 나지 않아 좀 더 개인정보 면에서, 서버 안정성 면에서 안정적으로 보이는 곳을 선택하였습니다.
3. 도메인 구매 사이트에서 DNS 레코드 등록
구매한 도메인을 구글 블로그 설정 → 맞춤 도메인으로 등록하시기 전에, 도메인 구입 사이트에서 DNS 레코드를 추가해야 합니다. 구매 사이트의 설정 화면에서 DNS 설정을 찾습니다.
** 가비아의 DNS 설정 화면↓
타입 | 호스트 | 값 | TTL |
---|---|---|---|
CNAME | www | ghs.google.com. | 3600 |
A | @ | 216.239.32.21 | 3600 |
A | @ | 216.239.34.21 | 3600 |
A | @ | 216.239.36.21 | 3600 |
A | @ | 216.239.38.21 | 3600 |
개별적으로 추가해야 하는 레코드가 위 1번 단계에서 확인한 개별 블로그 DNS 설정값 입니다. 호스트와 값에 각각 DNS 이름과 대상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4. 블로그스팟 설정에서 맞춤 도메인 연결
블로그스팟 설정 화면으로 돌아가 맞춤 도메인 항목에 구입한 도메인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저장 후, 구글 검색 창에서 구매한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여, 블로그로 연결되는지까지 확인합니다.
** 마지막으로, HTTPS 설정까지 꼭 활성화 합니다.
도메인까지 잘 저장했는데도, 간혹 구글 검색창에 주소를 쳐도 본인의 블로그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DNS 설정이 적용되기까지 최대 24시간까지 걸릴 수 있다고 하며, DNS 설정이 적용되는 시간 외에도, HTTPS 설정 활성화 후 블로그스팟이 SSL 인증서를 적용해 주는 과정에도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니 잠시 기다렸다 다시 확인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본인의 경우 약 10분 정도 기다린 후 정상 접속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