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지형(GIS) 데이터 사이트 모음 (활용 예시 및 데이터 비교 정리)
GIS(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는 환경 분석, 도시계획, 자연재해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자료로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자주 참고하거나 추천받았던 대표적인 무료 GIS 데이터 제공 사이트들을 정리하고, 각 사이트별 데이터 특징과 활용 예시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1. 고품질 GIS 데이터 제공 사이트 6곳
✅ NASA Earthdata
- 특징: MODIS(250m~1km), ASTER(15~90m) 위성 이미지
- 활용: 기후 변화 분석, 광역 환경 시뮬레이션
- 광범위한 지역단위 분석/ 대규모 환경 변화 시뮬레이션 분석용으로 적합합니다.
✅ USGS Earth Explorer
- 특징: SRTM 고도 데이터(30m), Landsat 시계열
- 활용: 도시개발, 3D 모델링, 재해 대응
- Tip: 구글 어스보다 정밀한 고도 데이터를 제공하여, 3D BIM 모델링시 특히 유용합니다.
✅ Copernicus Open Access Hub
- 특징: Sentinel-1(SAR), Sentinel-2(10m RGB)
- 활용: 농업, 기후, 침수 예측
- 특이점: 구름 영향을 받지 않는 SAR 이미지 제공
✅ NOAA Data Portal
- 특징: 해양/기후 데이터 (수온, 해류, 염도 등)
- 활용: 해양 재난 예측, 기후 시뮬레이션
- 데이터 양이 방대하므로 필터링이 중요합니다.
✅ JAXA ALOS
- 특징: 고해상도 DEM (10m)
- 활용: 산악 지형 분석, 재해 위험지역 연구
- 자연재해 예측, 산사태 위험 지역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 OpenStreetMap (OSM)
- 특징: 전 세계 지도, 도로, 건물 정보 제공 (기본 무료/ 고급 유료)
- 활용: 교통 시뮬레이션, 도시 인프라 분석, 개발 계획
- Note: 사용자 업데이트 기반으로 데이터가 관리되므로 지역별 데이터 정확도 상이
2. 데이터 정확도 및 업데이트 주기 비교
출처 | 데이터 해상도 | 정밀도 | 업데이트 주기 |
---|---|---|---|
NASA Earthdata | MODIS 250m~1km / ASTER 15~90m | 중간 (글로벌 범위) | 정기적 |
USGS Earth Explorer | SRTM 30m | 높음 | 주기적 |
Copernicus | Sentinel-2: 10m / Sentinel-1: SAR | 매우 상세 | Sentinel-1: 매일 / Sentinel-2: 5일 |
NOAA | 지역별 상이 | 중간 | 주기적 |
JAXA ALOS | 10m | 높음 (산악 지형 최적) | 비정기 (시즌별) |
OpenStreetMap | 도시/지역 단위 | 지역별 상이 | 사용자 업데이트 기반 |
3. 활용 사례 소개
🌾 농업 및 환경 분석
- Sentinel-2의 고해상도 다중분광 영상은 작물 생육 상태, 산림 변화, 토양 수분 모니터링 등에 효과적
- 주기적 이미지 갱신으로 시계열 기반 예측 모델 구축 가능
🏙 도시 계획 및 건설
- SRTM, ALOS DEM 등의 지형 데이터는 초기 부지 분석, 토지적성 평가, 교통망 시뮬레이션에 활용
- BIM·GIS 연계 시 디지털 지형 모델(DTM)로 도시 전역의 지형 맥락 반영 가능
🌊 기후 및 해양 연구
- NOAA의 실시간 해양·기상 데이터는 태풍, 해일, 홍수 등 재해 위험도 분석 및 대응 전략 수립에 활용
- 과거 기상 데이터와 위성 영상을 조합해 재난 패턴 분석 및 조기 경보 모델 구축 가능
⛰ 산악 지형 분석
- ALOS 등 고해상도 DEM은 급경사 지역의 산사태 위험도 분석, 산지 개발 제한 검토 등에 효과적
- 고지형 지역의 도로 및 구조물 계획 시 필수 참고 자료로 활용됨
4. 무료 툴을 활용한 3D 지형 모델링
🧭 QGIS
- 특징: 무료 오픈소스 GIS 소프트웨어
- 장점: 다양한 플러그인, 3D 시각화에 최적
- 활용: 지형 데이터 정리 및 3D Terrain 생성
- 가장 기본이자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툴입니다.
🌐 Cesium
- 특징: 웹 기반 3D 시각화 플랫폼
- 장점: 인터랙티브한 뷰, 전 세계 범위
- 활용: 대규모 도시/항만 프로젝트 시각화
- 시각화가 중요한 케이스에 (프레젠테이션 등) 활용하시기 좋습니다.
🎨 Blender + GIS Plugin
- 특징: GIS 데이터를 3D 렌더링으로 구현 가능
- 장점: 고퀄리티 시뮬레이션 & 영상 제작
- 활용: 프레젠테이션, 연구 영상 등
-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결과물은 개인적으로 만족도가 가장 좋았습니다.
🛰 Google Earth
- 특징: 빠르고 간단한 3D 탐색
- 활용: 현장 검토, 교육용 활용
- Note: 커스텀 데이터 임포트는 제한적
5. 요약
- 무료 GIS 데이터만으로도 프로젝트 초기 분석, 환경/도시계획 시뮬레이션이 가능
- 각 데이터의 특성과 해상도를 고려하여 프로젝트 목적에 맞는 조합이 중요
- 시각화 툴은 QGIS + Cesium 조합을 추천
짧게나마 직접 사용해본 경험을 토대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GIS 데이터 입문자분들, 3D 모델링에 입문자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References
- NASA Earthdata: https://earthdata.nasa.gov/
- USGS Earth Explorer: https://earthexplorer.usgs.gov/
- Copernicus Open Access Hub: https://scihub.copernicus.eu/dhus
- OpenStreetMap: https://www.openstreetmap.org/
- NOAA: https://www.noaa.gov/
- JAXA ALOS: https://www.jaxa.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