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엔진 폴더 구조: 지우면 안되는 폴더
언리얼엔진에서 신규 프로젝트 생성 시, 처음 선택하는 템플릿 유형에 따라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폴더 구조의 용량이 달라진다. 대표적으로 블루프린트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것 보다 C++ 기반으로 생성할 경우, 더 큰 용량의 폴더 구조가 생성된다.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이 용량이 점점 더 커지는데, 효율적인 용량 관리를 위해 삭제할 수 있는 폴더와 삭제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폴더들을 구분해 보았다.
● 지우면 안 되는 폴더
1. Config 폴더
- 언리얼 프로젝트의 환경설정 파일을 포함
- 입력, 오디오, 그래픽 등 다양한 설정값 저장
- 삭제 시 에디터 실행에는 문제없으나, 추가 설정된 내용이 초기화됨
2. Content 폴더
-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모든 에셋(Asset)을 포함 (매우 중요)
3. Plugins 폴더
- 외부 3rdParty 플러그인 및 자체 제작 플러그인 저장
4. Saved 폴더
- 작업 중 생성되는 임시 파일, 로그 파일, 백업 파일, 스크린샷 등이 저장됨
- 삭제해도 실행에는 문제없지만, 데이터 삭제로 인해 불편할 수 있음
5. Source 폴더
- C++ 코드 및 프로젝트 모듈 소스, 빌드 파이프라인 저장
6. .uproject 파일
- 프로젝트 정보를 포함하는 JSON 파일
- 언리얼 에디터 실행을 위한 필수 파일
● 지워도 문제되지 않는 폴더
1. .sln 파일
- Visual Studio Solution 파일
- 삭제해도 다시 생성 가능
2. .vs 폴더
- Visual Studio 실행 시 생성되는 데이터 저장
- 기본적으로 숨김 파일이므로 탐색기 설정에서 확인 가능
- 삭제해도 다시 생성 가능
3. Binaries 폴더
- C++ 컴파일 결과물 (DLL, EXE 등) 저장
- 삭제해도
.uproject
실행 시 재생성됨
4. Build 폴더
- 언리얼 프로젝트 패키징 과정에서 생성
- 플랫폼별 빌드 환경 설정 시 자동 생성됨
5. Intermediate 폴더
- 프로젝트 빌드 시 생성되는 중간 파일(컴파일된 코드, 임시 파일 등) 저장
- 삭제해도 실행 시 다시 생성됨 (단, 실행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기타 사항
✔️ 실수로 삭제된 .vs 폴더 재생성 방법
- .uproject 파일 선택 → 우클릭 → 'Generate Visual Studio project files' 클릭
✔️ 깃(Git) 버전 관리에서 제외할 폴더 (기록관리가 불필요한 폴더)
- .vs, Binaries, Build, Intermediate, Saved 등은 깃허브의 .gitignore 파일에서 기본적으로 제외된다.
- 버전 관리 대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저장 공간 절약